연말정산 부양가족 소득 기준 아시나요? 공제 등록 방법을 자세히 알아봅니다. 직계존속, 직계비속, 형제자매의 나이 및 소득 기준부터 국민연금 수령자 부양가족 등록까지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실제 세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맞춤형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이번 시간에는 연말정산 부양가족 소득 기준 공제 등록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연말정산 가족공제
세무사로 일하면서 매년 1월이면 수많은 직장인들의 연말정산 관련 문의를 받습니다. 지난해에는 어느 직장인이 부모님의 국민연금 수령액이 월 45만원인데 부양가족으로 등록할 수 있는지 문의했습니다. 이런 질문들을 듣다 보니 연말정산 부양가족 소득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연말정산 부양가족 소득
연말정산 부양가족 등록을 위한 소득기준은 연간 소득금액 합계액으로 판단됩니다.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을 모두 합산한 금액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 부양가족으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소득 기준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는 예외적으로 총급여액 500만원까지 허용됩니다. 국내 금융소득의 경우 2,000만원 이하라면 분리과세되어 소득금액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해외 금융소득은 금액과 관계없이 모두 종합소득으로 합산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구분 | 나이기준 | 연말정산 부양가족 소득기준 | 공제금액 |
---|---|---|---|
직계존속 | 만 60세 이상 | 연 100만원 이하 | 150만원 |
직계비속 | 만 20세 이하 | 연 100만원 이하 | 150만원 |
형제자매 | 만 20세 이하 또는 만 60세 이상 | 연 100만원 이하 | 150만원 |
장애인 | 나이제한 없음 | 연 100만원 이하 | 350만원 |
부양가족 등록
부양가족으로 등록 하려면 소속된 회사에 직접 문의 하면 됩니다. 홈택스에서 관련 자료를 준비해서 회사에 제출하면 자동으로 처리 됩니다.
부모님 연금
부모님의 국민연금 수령액이 부양가족 등록에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국민연금은 연금소득공제가 적용되어 실제 소득금액이 줄어듭니다. 월 수령액이 43만원(연 516만원) 이하라면 연금소득공제 후 소득금액이 100만원 이하가 되어 부양가족 등록이 가능합니다.
부양가족 공제
연말정산 부양가족으로 공제 되는 대상은 누가 있을까? 총 4가지 조건에 해당 하는 분들만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주민등록상 동거가족으로 실제 생계를 함께하는 경우
- 직계비속과 입양자는 주소와 관계없이 생계를 같이하는 것으로 인정
- 취학, 요양, 근무상 사유로 일시적 별거 시 인정
- 연말정산 부양가족 직계존속이 주거형편으로 별거하는 경우 인정
소득공제
부양가족 소득공제는 1인당 150만원씩 세금 감면 효과가 있습니다. 소득기준을 초과하더라도 의료비 세액공제는 별도로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부양가족 등록 시 나이기준과 소득기준을 꼼꼼히 확인하면 불필요한 수정신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연말정산 부양가족 소득 기준 공제 등록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많은 직장인들이 연말정산 시즌이면 부양가족 소득 기준과 공제 등록 방법에 대해 고민합니다. 직계존속은 만 60세 이상, 직계비속은 만 20세 이하여야 하며, 연간 소득금액 100만원 이하(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500만원)가 기준입니다.
국민연금 수령자는 월 43만원 이하면 부양가족 등록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기준을 잘 확인하여 연말정산 시 누락되는 공제 혜택이 없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부양가족 공제는 1인당 150만원의 소득공제 효과가 있으니, 꼼꼼히 확인하여 신청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