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2025 청년도약지원금 신청 조건 혜택 기간


2025 청년도약지원금 신청을 준비하고 계신가요?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34세 청년이 5년간 매월 최대 70만원을 납입하면 정부에서 기여금을 지원하는 자산형성 청년도약지원금 정책입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2025년 1월 23일부터 고용24에서 신청 가능하며, 기업의 청년 채용을 지원합니다. 지금부터 2025년 청년 지원 정책의 조건과 혜택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5 청년도약지원금 신청 조건

2025 청년도약지원금 신청 할 수 있는 가입 대상은 만 19세~34세 이하의 소득이 있는 청년입니다. 나이 요건과 소득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하며, 병역 이행기간은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청년도약지원금 가입 요건

개인소득은 총급여 연 7,5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연 6,300만원 이하인 분들이 청년도약지원금 가입 대상자 입니다. 가구소득은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1인가구 월 598만원, 4인가구 월 1,256만원 이하)입니다.

  • 나이: 만 19세~34세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제외)
  • 개인소득: 총급여 7,5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소득 250% 이하
  • 기타: 현재 청년희망적금 미가입자

청년일자리 지원 조건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기업이 청년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하여 6개월 이상 고용유지했을 때 지원됩니다. 만 15세~34세 청년이 대상이며, 채용일로부터 최대 24개월간 지원금이 제공됩니다.

청년도약지원금 지원 혜택

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의 정부 기여금이 확대되어 매월 최대 3만 3천원의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으며, 만기 해지 시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제공됩니다.

정책명 청년도약지원금 대상 혜택 내용 지원 기간
청년도약계좌 만 19~34세 청년 월 최대 3만 3천원 정부기여금 5년(60개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청년 채용 기업 최대 720만원 인건비 지원 24개월
서울시 청년수당 서울 거주 미취업 청년 월 50만원 활동지원금 6개월

청년도약계좌 주요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3만 3천원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 정부 기여금: 소득 구간별 월 최대 3만 3천원
  • 비과세 혜택: 만기 해지 시 이자소득 비과세
  • 부분 인출: 2025년 하반기부터 납입원금의 40% 부분 인출 가능
  • 신용점수 향상: 2년 이상 유지 시 5~10점 상승

청년도약지원금 신청 기간

2025 청년도약지원금 도약계좌는 매달 초 신청이 가능 합니다. 구체적인 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안내됩니다. 2025년 6월 신청기간은 6월 19일부터 7월 11일에, 2인 가구 이상은 6월 30일부터 7월 11일까지 계좌 개설 할 수 있습니다.

  • 3월 신청: 2월 22일~3월 8일
  • 4월 신청: 3월 18일~4월 5일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2025년 1월 23일부터 상시 신청
  • 서울시 청년수당: 2025년 3월 6일~3월 13일

2025년 변경사항

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의 정부 매칭 한도가 40·50·60만원에서 70만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또한 3년 이상 유지 후 중도 해지하면 비과세 혜택과 정부 기여금의 60%를 받을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정부 기여금 확대

2025년부터 모든 가입자가 실제 납입한 만큼 기여금을 매칭 받을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이전에는 소득 구간별로 매칭 한도가 달랐지만, 이제는 모든 가입자가 최대 70만원까지 매칭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신청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KB국민, 신한, 우리, 하나, IBK기업, NH농협, 부산, 광주, 전북, 경남, iM뱅크(구 대구은행) 등 11개 취급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 가입신청 및 계좌개설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절차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개인요건 및 가구원 최신화, 가구원 동의, 가입요건 확인, 계좌 개설 순서로 진행됩니다. 모든 가구원이 기한 내에 동의를 완료해야 심사가 진행됩니다.

  • 1단계: 취급은행 앱에서 가입신청
  • 2단계: 개인요건 및 가구원 정보 최신화
  • 3단계: 가구원 동의 절차 완료
  • 4단계: 가입요건 확인 및 계좌 개설

자주 묻는 질문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시 불이익이 있나요?

2025년부터는 최소 3년 이상 유지하면 정부 기여금의 60%를 받을 수 있고, 비과세 혜택도 유지됩니다. 이전과 달리 중도해지에 대한 불이익이 크게 완화되었습니다.

정부 기여금은 언제까지 받을 수 있나요?

개인소득 6,000만원 초과 및 ‘소득없음’의 경우 정부 기여금이 미지급됩니다. 또한 1년 주기로 소득을 현행화하여 기여금 규모가 조정됩니다.

여러 은행에서 2025 청년도약지원금 동시에 가입할 수 있나요?

취급은행을 통틀어 1명당 1개의 2025 청년도약지원금 계좌만 가입 가능합니다. 현재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2025년 청년도약지원금 정책은 기존보다 혜택이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특히 정부 기여금 매칭 한도 확대와 중도해지 불이익 완화로 더욱 유연한 활용이 가능해졌습니다. 본인의 상황에 맞는 정책을 선택하여 목돈 마련과 자산 형성의 기회를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2025 청년도약지원금